3D프린팅 제작 서비스
제작 공정
제작 방식
- FDM (Fused Deposition Modeling) – 용융 접착 방식
-
FDM 방식은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플라스틱(예: ABS, PC, PC-ABS, PPSF 등)을 고온의 헤드에서 가열하여 녹인 후, 노즐을 통해 압출하면서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입니다. 녹은 플라스틱이 노즐에서 X-Y-Z 축을 따라 이동하며 한 층씩 적층되고, 각 층이 빠르게 고화되면서 제품의 형태가 완성됩니다. 이 방식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며,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튼튼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플로터 방식(X-Y-Z 축 이동)을 사용하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가 뛰어나며, 특히 조립 파트 제작에 적합합니다.
#강한 내구성 #정밀조립파트 #지그&픽스처제작 파트
- Polyjet (Photopolymer jetting) – 광경화 적층 방식
-
PolyJet 방식은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를 노즐을 통해 분사한 뒤 자외선(UV) 광선을 쏘아 즉시 굳히는 방법입니다. 여러 개의 노즐이 동시에 작동하여 다양한 색상과 재료를 섞어서 출력할 수 있어, 복잡한 형상의 다색 모델도 한 번에 제작할 수 있습니다. 높은 해상도와 매끄러운 표면 품질을 제공하며, 고무 같은 유연한 소재부터 투명한 소재까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정밀한 치수 안정성과 우수한 표면 품질 덕분에 디자인 목업, 치과 모델, 그리고 복잡한 기계 부품의 시제품 제작에 적합합니다.
#풀컬러/투명/고무 #디자인목업 #고해상도표면제작 파트
- SAF (Selective Absorption Fusion) – 선택적 흡수 융합 방식
-
SAF 방식은 분말 상태의 나일론 소재 위에 흡수액을 뿌리고 고온의 히터로 열을 가해 흡수액이 뿌려진 부분만 선택적으로 융합시키는 방식입니다. 흡수액이 없는 부분은 파우더 상태로 남아 서포트 역할을 합니다. 이 방식은 높은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 부품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으며, 대량 생산에서도 균일한 품질을 유지합니다. 특히 산업용 부품이나 기계 부품, 기능성 시제품 제작에 적합합니다.
#고속대량생산 #고강도내구성 #산업용부품제작 파트
- SLA (Stereo Lithography Apparatus) – 광조형 방식
-
SLA 방식은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에 자외선(UV) 레이저를 조사하여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며 층층이 적층하는 방식입니다. 레이저가 X-Y 축으로 이동하며 한 층을 경화시키고, Z축으로 플랫폼이 내려가면서 다음 층을 적층합니다. 이 방식은 높은 해상도와 매끄러운 표면 품질을 제공하며, 복잡한 형상과 정밀한 디테일 표현이 가능합니다. 주형 제작, 정밀 시제품, 의료용 모형 및 치과 모델 제작에 적합합니다.
#복잡한 형상 #매끄러운표면 #정밀시제품제작 파트
- SLS (Selective Laser Sintering) – 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
-
SLS 방식은 분말 상태의 열가소성 소재 위에 고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을 선택적으로 소결(융합)하면서 적층하는 방식입니다.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은 부분은 고화되지 않고 서포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 나일론, 유리 충진 소재, 금속 분말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, 출력된 부품은 높은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갖습니다. 주로 기능성 시제품, 최종 사용 부품, 기계 및 자동차 부품 제작에 활용됩니다.
#대량생산 #고강도내열성 #최종제품제작제작 파트
- CNC 가공 (Computer Numerical Control)
-
CNC 방식은 디지털 설계도(CAD/CAM 데이터)를 바탕으로 공구가 X-Y-Z 축을 따라 이동하며 고속 회전하는 절삭 도구로 재료를 절단하고, 가공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방식입니다. 알루미늄, 아크릴, ABS, 목재, 고무 등 다양한 재료를 가공할 수 있으며, 정밀한 치수와 매끄러운 표면 품질을 제공합니다. 고속 가공과 높은 강도로 기능성 부품이나 조립 파트 제작에 적합하며, 도장, 증착, 도금 등 후처리가 용이합니다. 언더컷(오버행) 구조가 포함된 복잡한 형상은 가공이 어려울 수 있지만, 절삭 가능한 대부분의 재료를 가공할 수 있어 완제품으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. 주로 각종 프레임, 로봇 부품, RC 용품, 목업, 파트 샘플 제작에 활용됩니다.
제작 파트
후가공
-
1. 표면처리
RP 특성상 생기는 결을 사상처리하여
표면을 부드럽게 만듦 -
2. 도장/도금
원하는 컬러로 도장 또는 크롬도금을
하여 프레젠테이션 용이나 최종상품으로 활용 -
3. 진공주형 (실리콘 주형)
다품종 소량생산에 사용되며 10~20개
정도 제품 생산 시 마스터코어로 활용 -
4. RP tempering
Sealing, Hinge 보완하는데 활용